본문 바로가기
필수 정보

상속세 세율 - 신고기한과 절세 방안

by 잡쓰 박선생 2022. 9. 16.

 

상속을 받게 되면 상속세를 낼 준비를 해야 합니다. 상속세는 상속을 많이 받을 수록 세율이 높아지는데요. 상속세를 내기 아깝다고 싫다고 버티다가 더 낼 수도 있습니다. 미리 알아두고 어떻게 해서 조금이라도 덜 낼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속세 세율과 신고 기한 그리고 법정상속순위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중간마다 절세할 수 있는 꿀팁 또한 넣었으니 보시고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상속세 세율

상속세 세율
상속세 세율

상속세 세율은 과세표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당연히 과세표준이 높아진에 따라 세율도 같이 높아집니다. 상속세율은 과세표준에 1억 원, 5억 원, 10억 원, 30억 원의 기준으로 10%씩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누진공제액은 상속세 세율에 의해 나온 값에서 빼주는 것 입니다. 이 또한 상속세를 많이 낼 수록 누진공제액이 높아짐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과세표준은 총상속재산가액과 동일한 것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총상속재산가액

총상속재산가액
총상속재산가액

총상속재산가액을 계산할 때는 그 시기의 시가로 계산을 합니다. 그 시기에 가격이 많이 낮아져 있으면 총상속재산가액이 줄어드는 것이고 그 시기에 가격이 높아져 있으면 당연히 높아지게 됩니다. 시가가 중요하기에 만약 주택이나 주식의 가격이 그 때 높다면 상속세를 조금 늦게 신고해도 괜찮을 듯 합니다. 당연히 기한 내에 신고 해야 겠죠. 만약 상속세를 신고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상속세 무신고

상속세 무신고
상속세 무신고

상속세를 신고하지 않다가 걸리면 기본세율에서 20%를 더 내게 됩니다. 매우 큰 세율로 상속세를 내게 될 것입니다. 무신고도 일반과 부정 두가지로 나뉘는데 일반 무신고는 20%이고 부정 무신고는 40%나 됩니다. 상속세를 내지 않고 있다면 그냥 몰랐다고 해야지 일부러 빼돌리면 안되겠습니다.

상속세 신고 기한

상속세 신고 기한
상속세 신고 기한

상속세는 신고기한은 상속 시작하는 달의 말일부터 6개월 또는 9개월 이내에 신고하면 됩니다. 6개월은 같이 거주하는 경우이고 같이 거주하지 않는다면 9개월이 되겠습니다. 상속세는 그 시기의 시가가 중요하기에 기간이 길수록 좋습니다. 그렇기에 상속을 받을려고 한다면 비거주자로 하여 신고 기한을 길게 가져가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상속세 제출 서류

상속세 제출 서류
상속세 제출 서류

상속세를 신고하기 위한 제출서류는 총 8가지가 됩니다. 7번과 8번은 해당할 때만 내는 서류입니다. 즉 1번부터 6번은 상속세 신고할 때 꼭 내야하는 서류입니다.

  1. 상속세 과세표준신고 및 자진납부계산서
  2. 상속세 과세가액 계산명세서
  3. 상속인별 상속재산 및 그 평가명세서
  4. 채무, 공과금, 장례비용 및 상속공제명세서
  5. 배우자 상속공제 명세서
  6. 상속개시전 1(2)년 이내 재산처분, 채무부담 내역 및 사용처소명명세서
  7. 영리법인 상속세 면제 및 납부명세서
  8. 그 밖에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의하여 제출하는 서류 등 가업상속공제 신고서

상속의 순위

상속의 순위
상속의 순위

이러한 상속세를 내기 위해서는 우선 누가 상속을 받느냐가 중요합니다. 상속에 대한 아무말이 없었다면 1순위는 직계비속과 배우자입니다. 직계비속은 자녀와 손자를 의미합니다. 2순위는 직계존속과 배우자로 존속은 부모와 조부모를 의미합니다. 3순위는 형제자매이고 4순위는 4촌 이내의 혈족입니다. 법으로 정해진 순위이기에 상속에 대한 분쟁이 있을 때 사용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속세 세율과 신고기한 등 상속세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보시고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댓글